2. 금융 & 재테크 초보 가이드
ISA vs 연금저축 vs IRP – 3대 절세 상품 비교표 완전 정리
생활 속 정보
2025. 8. 19. 20:10
<목차>
1. 절세 상품이 중요한 이유
자산을 늘리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수익을 키우는 것, 그리고 세금을 줄이는 것. 후자가 바로 '절세'입니다. 특히 직장인, 프리랜서, 자영업자 모두에게 절세는 곧 직접적인 수익 증대 효과를 가져다줍니다.
대표적인 절세 상품 3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ISA / 연금저축 / IRP 지금부터 이 세 가지를 비교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세워보세요.
2. ISA, 연금저축, IRP 핵심 개념 요약
-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운용, 비과세 혜택
- 연금저축: 노후 준비 + 세액공제, 일정 기간 후 연금 수령 가능
- IRP (개인형 퇴직연금): 퇴직금/추가납입 운용, 연금 수령 + 세액공제 이중 혜택
3. 절세 효과 비교표로 한눈에 보기
항목 | ISA | 연금저축 | IRP |
---|---|---|---|
가입 대상 | 만 19세 이상 누구나 | 만 19세 이상 누구나 | 소득 있는 자 (직장인/자영업자 등) |
연간 납입한도 | 2,000만 원 (총 1억) | 1,800만 원 | 1,800만 원 (연금저축과 통합) |
세제 혜택 | 비과세 + 분리과세 9.9% | 세액공제 (13.2~16.5%) | 세액공제 (13.2~16.5%) |
비과세 한도 | 일반형 200만 / 서민형 400만 | 없음 | 없음 |
운용 가능 상품 | 예적금, 펀드, ETF, 채권 등 | 펀드, 보험, 예적금 | 펀드, ETF, 채권 등 다양 |
인출 제한 | 자유롭게 인출 가능 (단, 3년 유지) | 만 55세 이후 연금 형태 인출 | 만 55세 이후 연금 형태 인출 |
중도해지 시 | 세금 혜택 일부 회수 가능 | 세액공제 환수 | 세액공제 환수 |
추천 대상 | 소득 없어도 가능, 비과세 중심 | 절세 + 노후 준비 병행 | 퇴직금 통합 운용 + 절세 |
4. 어떤 상품부터 활용해야 할까?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절세 순서:
- 1단계: 연금저축 세액공제 최대한 활용 (400만 원 한도)
- 2단계: IRP로 추가 세액공제 (700만 원까지 통합 가능)
- 3단계: ISA로 비과세 계좌 활용
특히 근로소득자는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효과가 크기 때문에 연금저축 + IRP를 우선 활용한 후, 추가 자금으로 ISA를 병행하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5. 실전 활용 조합 전략
예시: 연소득 5천만 원 직장인의 전략
- ISA: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하고 수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받고 싶은 사람
ETF로 분산 투자 → 수익 최대 200만 원 비과세 - 연금저축: 절세하면서 노후 대비까지 준비하려는 직장인
연 400만 원 납입 → 세액공제 최대 66만 원 환급 - IRP: 퇴직금 운용 + 연금으로 활용 + 추가 세액공제를 노리는 근로자
연 300만 원 납입 → 세액공제 약 50만 원 추가
-----> 절세 총합: 약 110만 원 + 수익 비과세 혜택
TIP
- ISA + 연금저축 + IRP는 중복 활용 가능
- 소득이 있는 사람은 세액공제 한도 내에서 모두 활용하는 것이 절세에 가장 효과적
6. 다음 글 예고 및 관련 콘텐츠
다음 글 예고
[12편] 연금저축 세액공제 최대한 받는 방법
연 400만 원 한도 내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절세하는 전략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