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 생활 절약 & 1인가구 꿀팁

[생활비 절약 19편] 겨울철 가스요금 줄이는 보일러 사용법

1. 겨울철 가스요금이 왜 이렇게 많이 나올까?

겨울만 되면 가스요금 고지서를 보고 놀라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보일러를 하루 종일 켜 두는 집이라면 그 부담이 더 크죠.

보일러는 단순히 방을 데우는 것만이 아닙니다.
온수까지 함께 책임지기 때문에 생각보다 많은 에너지를 씁니다.
집이 추워질 때마다 "조금만 더 올릴까?" 하고 온도를 높이다 보면, 어느새 요금이 두 배로 뛰어있습니다.

그렇다고 보일러를 꺼두자니 집이 너무 춥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따뜻함은 유지하면서도 가스요금을 줄이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보일러 사용법

 

2. 보일러 온도 설정, 황금 구간은 몇 도일까?

보일러 온도를 너무 높이면 집은 빨리 따뜻해집니다.

하지만 가스 사용량은 폭발적으로 늘어납니다.

  • 난방 온도 : 20~22도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 정도면 두꺼운 옷을 입고 생활하기 딱 좋습니다.
  • 온수 온도 : 40도 전후면 충분합니다.
    손 씻고, 샤워하고, 설거지하는 데 부족하지 않으면서 가스 사용량도 크게 줄어듭니다.

온도는 조금 낮게, 꾸준히가 핵심입니다.
짧은 시간에 확 올렸다 내리는 것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게 절약 효과가 큽니다.

 

 

3. 가스비 줄이는 보일러 사용 습관

(1) 외출 모드 활용하기

외출할 때 보일러를 완전히 꺼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집이 너무 차가워지면 돌아와서 다시 데우는 데 더 많은 가스가 듭니다.
이럴 땐 외출 모드가 효율적입니다.
집 온도를 살짝만 유지해주니, 돌아와서 금방 따뜻해집니다.

(2) 온수 사용 습관 고치기

뜨거운 물을 조금씩 자주 쓰면 보일러가 계속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에너지를 더 씁니다.
샤워할 때도 온수 콸콸, 시간 길게 쓰면 당연히 요금이 많이 나옵니다.
온수는 모아서 한 번에, 꼭 필요한 만큼만 쓰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3) 난방 시간 조절하기

잠잘 때는 난방을 줄이고, 생활하는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난방하세요.
특히 이불 속에서는 보일러를 높게 틀 필요가 없습니다.
두꺼운 이불 하나면 충분히 따뜻하죠.

(4) 환기는 짧고 강하게

겨울철에도 환기는 필요합니다.
하지만 창문을 오래 열면 집이 차갑게 식습니다.
그럼 보일러가 다시 돌아가면서 더 많은 가스를 쓰게 되죠.
5~10분 정도 짧게, 강하게 환기하는 게 좋습니다.

 

4. 1인가구 맞춤 난방 절약 노하우

혼자 사는 경우 보일러를 집 전체에 틀 필요가 없을 때가 많습니다.

    • 부분 난방 활용
      방 하나만 쓰는 경우, 전기 온풍기나 전기장판을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게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보일러는 기본 온도로 유지하고, 활동 공간만 추가 난방을 하는 방식입니다.

    • 단열 아이템 사용
      두꺼운 커튼, 뽁뽁이, 문풍지, 바닥 매트 같은 것만 잘 활용해도 체감 온도가 달라집니다.
      보일러 온도를 1~2도 낮출 수 있으니 요금 절약 효과는 생각보다 큽니다.

 

5. 가스 절약에 도움 되는 아이템

  • 보일러 타이머 컨트롤러
    → 시간을 정해 자동으로 꺼졌다 켜지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온수 절약형 샤워기
    → 물과 가스를 동시에 절약할 수 있습니다. 샤워 시간을 줄이면 절약 효과는 더 커집니다.
  • 에너지 차단 커튼
    → 창문에서 새는 찬 공기를 막아주어 난방 효율을 높입니다.

 

6. 마무리

겨울철 가스요금은 무조건 많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생활 습관을 조금만 바꾸면,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 난방은 20~22도, 온수는 40도 전후로 유지하기
  • 외출 모드와 타이머 활용하기
  • 온수는 모아서 한 번에 사용하기
  • 단열 아이템으로 난방 효율 올리기

이 네 가지만 실천해도 한 달 가스요금에서 1만~2만 원 절약이 가능합니다.
생활비를 줄이고 싶다면, 오늘 바로 보일러 설정부터 점검해 보세요.

 

 

이전글 & 다음글

이전 글 보기: [생활비 절약 18편] 냉장고 전기요금 줄이는 정리법

다음 글 보기: [생활비 절약 20편] 휴대폰 요금 아끼는 통신비 절약 꿀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