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정부 지원금 & 복지 정책

정부 지원 대상인가요? 2025년 중위소득 100%, 150%, 200% 기준‌표 완전 정리

이 글 한 번으로, 내 소득 수준이 어떤 정부 복지 또는 지원 제도 대상인지 알 수 있는 기준점이 됩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 중위소득 기준이 중요한 이유
  2.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정확한 수치
  3. 150%, 200% 등 주요 백분율별 금액 정리
  4. 대표 복지 제도별 중위소득 기준
  5. 내 경우 해당 구간인지 확인하는 방법
  6. 자주 묻는 질문(FAQ)
  7. 마무리 요약 및 활용 팁

 

중위소득 기준

 

1. 들어가는 말 – 중위소득 기준이 중요한 이유

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정부가 매년 고시하는 가구별 소득의 중앙값입니다.
기초생활보장제도, 주거·의료 지원, 교육급여, 긴급복지 등 약 80여 개 공공복지 사업의 선정 기준으로 활용되죠.
따라서 내가 어떤 % 구간에 속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자격 판단의 출발점이 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전년도 대비 1인 가구는 7.34% 상승, 4인 가구는 6.42% 인상되며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2.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정확한 수치

기준 중위소득 (100%) 월별 가구원 수 기준 금액

가구원 수 월 기준 중위소득 (100%)
1인 2,392,013원
2인 3,932,658원
3인 5,025,353원
4인 6,097,773원
5인 7,108,192원
6인 8,064,805원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6,097,773 원으로 2024년 대비 6.42% 인상, 1인 가구 기준은 2,392,013 원으로 7.34% 증가했습니다.

 

3. 150%, 200% 등 주요 백분율별 금액 정리

아래 표는 중위소득에 대한 150%, 200% 등 백분율별 소득금액 상대비교입니다.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대상 범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가구원 수 100% 150% 200%
1인 2,392,013원 3,588,020원 4,784,026원
2인 3,932,658원 5,898,987원 7,865,316원
3인 5,025,353원 7,538,030원 10,050,706원
4인 6,097,773원 9,146,660원 12,195,546원
5인 7,108,192원 10,662,288원 14,216,384원
6인 8,064,805원 12,097,208원 16,129,610원

※ 이 표는 공식 고시된 기준중위소득을 기반으로 산출된 수치입니다.

 

4. 대표 복지 제도별 중위소득 기준

급여 종류 해당 비율(% 기준중위소득)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초과금액
생계급여 32% 이하 195만 1,287원 이하
의료급여 40% 이하 243만 9,109원 이하
주거급여 48% 이하 292만 6,931원 이하
교육급여 50% 이하 304만 8,887원 이하
국민취업지원제도 Ⅰ유형 60% 이하 365만 8,664원 이하 (취업프로그램, 훈련 등 제공)
국민취업지원제도 Ⅱ유형, 일부 창업·월세 지원 100% 이하 609만 7,773원 이하
청년월세지원, 아이돌봄수당 일부 150% 이하 소득수준 약 9백만 원 이하 대상 가능

소득이 낮을수록 수혜 폭이 넓고, 기준선이 높을수록 일부 지원에 제한됩니다.

 

5. 내 경우 해당 구간인지 확인하는 방법

  1. 실거주 가구원 수와 총소득(근로·사업·임대소득 등 모든 소득)을 합산합니다.
  2. 보건복지부가 고시한 기준 중위소득 100%~200% 금액표와 비교합니다.
  3. 자신의 소득이 해당 % 구간인지를 판단하고, 위 조건표에서 지원 가능 프로그램을 확인합니다.
  4. ‘소득인정액 계산’이 필요한 경우, 근로소득 공제, 임대료 공제, 건강보험료 차감 항목을 포함해 계산하셔야 합니다.
  5. 복지로 사이트나 지자체 방문을 통해 전산 입력된 ‘가구 구성원 수’, ‘소득’으로 자동 판단을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직접 계산이 불안하다면, 주민센터나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중위소득 확인서’ 또는 ‘소득인정액 계산서’를 발급받으시길 추천합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소득이 100% 이하지만 지원이 거절됐어요. 왜 그럴까요?
A1. 근본적으로 중위소득 기준 외에도 자동차·부동산 등 재산요건, 부양의무자 조건, 지자체 예산 한도 등이 검토 대상입니다.

Q2. 중위소득 200% 초과면 복지 혜택을 못 받나요?
A2. 대부분의 기본복지 항목이 제한되나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일부 건강보험료 경감, 노인 일자리 등은 별도 기준으로 운영됩니다.

Q3. 가구원 수가 3명인데 부모님이 다른 주소지에 살면 어떻게 계산하나요?
A3. 실제 같은 주소지에서 생활하며 소득을 공유하는 구성원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경우에 따라 분가 여부를 따로 제도적으로 반영하기도 합니다.

7. 마무리 요약 및 실전 활용 팁

  • 중위소득 구간(100%, 150%, 200%)은 정부 복지 혜택 접근을 위한 처음이자 가장 중요한 기준입니다.
  • 32%, 40%, 48%, 50%, 60% 구간은 생계·의료·주거·교육·취업지원 선발 기준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 사전 자가진단 → 해당 % 구간 확인 → 지원제도 매칭 → 신청 준비와 신청 시점이 빠를수록 유리합니다.
  • 반드시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을 이해하고 준비하여, 중복 대상 판단 오류를 줄이는 것이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