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정부 지원금 & 복지 정책

청년도약계좌 세금 Q&A -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 총정리

청년도약계좌에 붙는 세금은 이자소득세 15.4%입니다.

그러나 정부지원금은 비과세라 100% 받을 수 있고, 장기 ISA 등과 연계하면 절세 효과도 가능합니다.

아래에서 실제 계산 예시와 함께 알기 쉽게 설명합니다.

 

목차

 

청년도약계좌 세금 Q&A -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

 

1. 청년도약계좌 세금 기본 구조

청년도약계좌는 일반 예적금과 동일하게 세금이 붙는 구조입니다.

은행에서 발생하는 이자소득에는 15.4%(이자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가 부과됩니다.

다만 모든 금액에 과세되는 것은 아니며, 과세 대상은 은행 이자와 우대금리 부분입니다.

 

2. 정부지원금에도 세금이 붙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NO! 정부가 얹어주는 지원금은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즉, 정부지원금은 100% 그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청년도약계좌에서 세금이 부과되는 부분은 은행 이자와 우대금리뿐입니다.

 

3. 이자소득세 15.4% 계산법

이자소득세 계산은 단순합니다.

구분 내용
과세 대상 은행 기본이자 + 우대금리 이자
세율 이자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 = 총 15.4%
부과 방식 이자 지급 시 자동 원천징수

예: 은행 이자로 100만 원을 받으면 15만 4천 원이 세금으로 빠져나가고,

실제 손에 쥐는 금액은 84만 6천 원입니다.

 

 

4. 실제 계산 예시 (50만 원, 70만 원 납입)

청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은 “실제로 얼마를 받을 수 있냐”는 것입니다.

아래는 단순 계산 예시입니다. (은행 기본금리 3.5%, 우대금리 0.5% 가정)

조건 5년 만기 세금 차감 후 실수령
월 50만 납입 원금 3,000만+이자 약 280만+정부지원금 약 300만=총 3,580만 이자에서 세금 약 43만 차감 → 총 약 3,537만
월 70만 납입 원금 4,200만+이자 약 420만+정부지원금 약 400만=총 5,020만 이자에서 세금 약 64만 차감 → 총 약 4,956만

즉, 세금은 주로 이자 부분에서만 차감되며, 정부지원금은 온전히 내 것이 됩니다.

 

5. 비과세·분리과세 활용법

  • 장기 ISA 계좌와 함께 활용하면 일정 금액까지 비과세
  • 분리과세 제도로 저소득 청년은 세 부담 경감 가능
  • 우대금리를 받더라도 세율은 동일(15.4%)

즉, 청년도약계좌만 단독으로 쓰면 세금을 피할 수는 없지만,

다른 제도와 함께 활용하면 세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세금은 언제 빠져나가나요?

이자는 매월 또는 만기 지급 시 발생하며, 그때 세금이 자동 원천징수됩니다.

Q2. 정부지원금도 과세 대상인가요?

아닙니다. 정부지원금은 전액 비과세라 100% 수령할 수 있습니다.

Q3. 이자소득세를 줄이는 방법은 없나요?

ISA 계좌와 연계하면 일부 비과세, 나머지는 분리과세로 낮출 수 있습니다.

Q4. 우대금리를 받아도 세금은 달라지나요?

우대금리를 받으면 이자가 늘어나므로 세금도 함께 늘어나지만, 세율은 동일하게 15.4%입니다.

Q5. 중도해지하면 세금은 달라지나요?

중도해지해도 발생한 이자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15.4% 세금이 부과됩니다.

다만 정부지원금은 반환해야 하므로 실수령액은 크게 줄어듭니다.

 

 

7. 마무리 – 세금 줄이는 팁

정리하면, 청년도약계좌는 은행 이자에는 15.4% 세금이 붙지만, 정부지원금은 비과세라 전액 받을 수 있습니다.

절세 전략으로는 ISA 계좌 연계, 분리과세 제도 활용이 효과적입니다.

가입 전 반드시 본인의 소득 조건, 다른 금융상품 가입 여부를 고려해 전략적으로 활용하세요.

 

청년 정책 금융 더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Q&A – 손해 총정리
청년도약계좌 이자율 Q&A – 실제 계산법

정부24에서 청년도약계좌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