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금융 & 재테크 초보 가이드

ISA 계좌 완전 정리 – 비과세 한도부터 활용 전략까지

<목차>

ISA계좌

1. ISA 계좌란 무엇인가?

ISA는 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관리하면서 비과세 또는 저율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계좌입니다.

 

2. ISA의 기본 구조 및 운영 방식

  • 하나의 계좌에서 예금, 펀드, ETF, 채권, RP 등 다양한 상품을 운용 가능
  • 가입 후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 적용
  • 전 금융기관 통틀어 1인 1계좌 원칙

 

3. 비과세 혜택과 한도

  • 비과세 한도: 일반형 200만 원, 서민형 400만 원
  • 초과분: 금융소득세 9.9%로 분리과세
  • 소득이 적거나 무소득자도 가입 가능 (단, 서민형은 소득 요건 있음)

예:

수익 300만 원 발생 시

→ 서민형이라면 400만 원까지 전액 비과세

→ 일반형이라면 100만 원은 9.9% 과세 대상

 

4. 일반형 vs 서민형 ISA 차이

구분 일반형 ISA 서민형 ISA
가입 조건 제한 없음 총급여 5천만 원 이하 or 종합소득 3,500만 원 이하
비과세 한도 200만 원 400만 원
추가 납입 한도 연 2천만 원, 총 1억 원까지 가능

 

5. ISA 계좌 개설 방법과 준비 서류

  • 은행, 증권사 앱 또는 창구에서 신청 가능
  • 신분증만 있으면 가능 (소득 확인 자료는 서민형 필수)
  • 비대면 계좌 개설도 대부분 가능

 

6. ISA로 가능한 투자 종류

  • 예금/적금
  • ETF
  • 국공채/회사채
  • MMF, RP 등 단기상품
  • 간접 펀드 (국내/해외)

단, 직접 주식 매매는 불가하며, ETF·펀드·채권 등 간접 투자만 가능합니다.

 

7. 전략적으로 ISA를 활용하는 방법

  1. 세금이 많이 나오는 상품 우선 편입 – ETF/펀드 중심
  2. 장기 운용 전제 – 3년 이상 보유 필요
  3. ISA + 연금저축 조합으로 절세 극대화
  4. 신청 시 서민형 자격이 되면 반드시 선택

특히 직장인이라면 연금저축·IRP와 ISA를 동시에 활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절세 투자 루트입니다.

 

8. 다음 글 예고 및 관련 콘텐츠

다음 글 예고

[번외편] ISA vs 연금저축 vs IRP – 3대 절세 상품 비교표 완전 정리
ISA vs 연금저축 vs IRP 한눈에 쉽게 비교 정리 해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절세 전략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