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금융 & 재테크 초보 가이드

이자, 원금, 복리 쉽게 설명 – 돈이 불어나는 구조 이해하기

<목차>

이자 원금 복리

1. 이 글을 왜 읽어야 할까?

‘재테크’라는 단어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 중 하나는 금융의 기본 개념부터 막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자’, ‘복리’, ‘원금’ 같은 단어는 매번 들을 때마다 모호하게 넘기기 쉽습니다.

그러나 이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면 내가 가입한 적금이 왜 수익률이 낮은지, 대출을 받으면 얼마나 이자를 더 내는지, 1년 뒤 내 돈이 얼마나 불어날 수 있는지를 스스로 계산할 수 있게 됩니다.

 

2. 원금, 이자란 무엇인가?

원금이란?

‘원금’은 말 그대로 내가 처음에 맡기거나 빌린 금액입니다.
예: 적금으로 100만 원을 은행에 넣었다면 100만 원이 원금
예: 대출로 500만 원을 빌렸다면 500만 원이 원금

이자란?

‘이자’는 그 원금을 기준으로 은행이 주거나, 내가 내야 하는 돈입니다.
적금에서는 은행이 나에게 이자를 줍니다.
대출에서는 내가 은행에 이자를 냅니다.

이자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

  • 금리(이자율)
  • 기간
  • 원금

 

3. 단리와 복리의 차이

단리란?

단리는 항상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이자가 이자를 낳지 않습니다.

100만원 x 5% x 3년 = 15만원 -> 총 115만원

복리란?

복리는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가파르게 돈이 불어납니다.

1년 후 : 100만원 + 5만원 = 105만원

2년 후 : 105만원 x 5% = 5.25만원 -> 110.25만원

3년 후 : 110.25만원 x 5% = 5.51만원 -> 약 115.76만원

핵심 차이 정리

구분 단리 복리
이자 계산 기준 원금만 원금 + 이자
수익 증가 속도 일정 가속 증가
장기 투자 적합도 낮음 높음

 

4. 복리의 마법 – 진짜 무섭습니다

‘72의 법칙’ 들어보셨나요?

복리 효과를 실감하게 하는 아주 유명한 법칙입니다.
72 ÷ 연이율 = 자산이 두 배 되는 데 걸리는 시간

  • 6% 수익률 → 72 ÷ 6 = 12년
  • 9% 수익률 → 72 ÷ 9 = 8년

단순해 보이지만 이 법칙은 연금저축, IRP, ETF 같은 장기 투자 전략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5. 복리를 적용하는 금융상품은?

복리가 적용되는 상품은 의외로 많지만, 복리 적용 방식은 다 다릅니다.

꼼꼼히 비교가 필요합니다.

상품 종류 복리 여부 특징
정기예금 아니오 고정 이자, 안정적
적금 아니오 월납 단리 방식
비보호 고금리 상품 복리 종종 적용됨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 복리 효과
CMA 계좌 수시 입출금 + 복리
ETF/펀드 재투자 시 복리 효과 발생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복리는 무조건 유리한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복리 효과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유리하며, 중간에 해지하면 거의 의미 없습니다.

Q. 월복리 vs 연복리 차이는?

월복리는 매달 이자가 붙고, 연복리는 1년에 한 번 계산합니다.

장기일수록 월복리가 더 유리합니다.

Q. 대출도 복리인가요?

대부분 단리지만, 연체 시에는 복리처럼 이자가 이자에 붙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7. 결론 및 다음 글 안내

핵심 요약

  • 원금: 내가 맡기거나 빌린 돈
  • 이자: 원금을 기준으로 붙는 돈
  • 복리: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구조
  • 복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돈이 더 빠르게 불어난다

금융 상품을 고를 때는 금리뿐만 아니라 이자 계산 방식도 반드시 확인하세요.

다음 글 예고

[2편] 재테크 전에 알아야 할 금융 필수 용어 20가지
당신의 금융 문해력을 키워줄 핵심 용어 모음집입니다.

 

내부링크 추천